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합의알고리즘인 게시물 표시

PoW vs PoS vs aBFT 차이점 총정리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

PoW vs PoS vs aBFT 차이점 총정리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 PoW vs PoS vs aBFT 차이점 총정리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 합의 알고리즘이란? 블록체인에서는 수많은 노드가 동시에 작동하므로, 모두가 같은 데이터(블록)를 공유하려면 ‘합의’ 가 필요합니다. 이때 사용하는 것이 바로 합의 알고리즘(Consensus Algorithm) 입니다. PoW, PoS, aBFT의 개념 비교 구분 PoW (Proof of Work) PoS (Proof of Stake) aBFT (Asynchronous Byzantine Fault Tolerance) 작동 방식 노드가 연산 작업(채굴)을 통해 블록 생성 지분(보유량)에 따라 블록 생성자 선정 노드 간 메시지 전달로 빠른 합의 도출 속도 (TPS) 낮음 (~7 TPS) 중간 (~30~100 TPS) 매우 높음 (10,000+ TPS) 에너지 효율 매우 낮음 중간 매우 높음 보안성 높음 (검증된 모델) 높음 (분산 보안 구조) 매우 높음 (비잔틴 장애 허용) 대표 프로젝트 비트코인 (Bitcoin) 이더리움 (Ethereum) 헤데라 해시그래프 (Hedera Hashgraph) PoW (작업 증명) 특징 최초의 블록체인 합의 방식 보안성과 탈중앙화는 우수하지만 속도와 에너지 효율이 낮음 대표 사례: 비트코인, 초기 이더리움 PoS (지분 증명) 특징 보유한 암호화폐 지분에 따라 블록 생성 권한 부여...